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토이프로젝트
- 알고리즘
- DFS
- 협업프로젝트
- Spring Framework
- 프로젝트 설계
- 유사 칸토어 비트열
- 와이어 프레임
- couchcoding
- maven
- 백준
- Qoddi
- ERD
- Spring
- 프로그래머스
- 그리디 알고리즘
- LEVEL 2
- 배포
- Java
- 카우치코딩
- 코딩테스트
- 테이블 해시 함수
- 마법의 엘리베이터
- 토이 프로젝트
- 빌드 툴
- GitHub
- 트랜잭션
- pom.xml
- Fun편log
- 6주포트폴리오
- Today
- Total
목록couchcoding (6)
소통 하고싶은 개발자

목차 시작하며 Jpa Custom Repository 적용 기타 리팩토링 프론트엔드 연동 테스트 버그 수정 - 로그아웃 문제 1 회차 멘토링 버그 수정 - 회원탈퇴 문제 2 회차 멘토링 마치며 시작하며 벌써 마지막 주차가 되었다.. 항상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느끼는 것이지만 시간이 참 빨리 지나가는 것 같다. Custom Repository 적용 저번 주에 나는 리팩토링을 하면서 KeywordContentService라는 클래스를 만들었고, 여기서 KeywordContentRepository를 가지고 있으면서 DB에서 가져온 엔티티 객체를 캐싱하도록 만들었다. KeywordContent테이블은 우리 서비스 주제가 편의점에 대한 리뷰를 남기고, 편의점을 설명할만한 "뷰가 좋아요", "취식공간이 잘 되어있어..

목차 시작하며 리뷰 작성 ・ 수정 ・ 삭제 ・ 조회 기능 적용 로그인 권한 필터링 1 회차 멘토링 리펙토링 시작 2 회차 멘토링 리펙토링 중간 점검 마치며 시작하며 벌써 5 주차가 되었다. 무언가에 집중해서 그런지 시간이 정말 빨리 흐르는 것 같다. 프론트엔드와 본격적으로 연동 테스트에 들어간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그래도 점진적으로 개발된 API에 대한 피드백이 들어오면 그때마다 고치고 PR을 생성해서 리뷰를 받는 과정에 익숙해지고 있는 것 같다. 지난주에 편의점 정보(StoreSummary)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Pull Request도 여러 번 생성해보고, 피드백이 담긴 리뷰를 보고 수정해서 다시 Push도 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나름 깃허브와 깃플로우에 익숙해졌기 때문이..

목차 시작하며 Pull Request 피드백 수정 파이어베이스 적용기 첫 배포 성공 1 회차 멘토링 파이어베이스 연동 성공 시큐리티 설정이 추가된 브랜치 배포 2 회차 멘토링 Be-Fe 첫 임시 연동 마치며 시작하며 저번 주에 드디어 Qoddi의 담당자와 접선에 성공하고 4주차 멘토링이 시작되기 전까지 해야 하는 것들이 있었다. Jpa StoreSummary부분 만들어서 pull request 배포해보기(Qoddi) 시큐리티 만들어서 cors 해오기 (일단 보류) 내가 처음이라 그런지 모르겠지만 위의 항목 중 1, 2번은 그럭저럭 할 수 있을 것 같았지만 3번 시큐리티 만들기는 좀 어렵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Spring Jpa도 처음 다뤄보는 기술인 만큼 꽤 시간을 소요하면서 공부했는데, 스프링..

목차 시작하며 1회차 멘토링 깃플로우 적용 배포 이슈 2회차 멘토링 마치며 시작하며 벌써 3주차가 끝나가고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 옛날부터 느낀 거지만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시간이 항상 생각보다 빨리 지나가는 것 같다. 3주차부터 마지막 주차까지는 멘토링에서 하는 것들이 진행 현황 및 이슈 체크로 정해져 있다. 그래도 멘토링에 들어가기 30분 정도 전에 진행 상황과 현재까지 발생한 이슈들에 대해 텍스트 편집기에 한번 적어보고 멘토링을 받아서인지 막히는 부분이나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완료하면 어떤 것들을 할지에 대한 것들이 생각보다 머릿속에 잘 정리되는 느낌이 들었다. 1회차 멘토링 제일 처음에는 진행 상황 및 이슈 체크를 하는 시간을 가졌다. 백엔드의 경우 배포와 관련한 이슈가 있..

목차 시작하며 1회차 멘토링 칸반 보드 작성 2회차 멘토링 마치며 시작하며 저번 1 주차 멘토링을 완료하고, 백엔드 담당인 나와 Front-end 담당인 분들은 그다지 접해보지 못했던 개념인 OAuth를 다루기 위해 여러 자료를 수집했다. 하지만 수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인프런 강의 및 유튜브 영상을 보면서 스터디해도 뭔가 프로젝트에 적용했을 때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에 대한 감이 잘 잡히지 않았다. 그 와중에 'Front-end와 연계하는 시나리오를 그려보면 좀 감이 오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Front-end 분들과 플로우 차트(FlowChart)를 그려봤다. 그런데 이렇게까지 했는데도 '로그인 진행 중인 경우에 토큰 값은 어떡하지?'라는 의문이 사라지지가 않았고, 이에 대하여 팀원들과 회의하..

목차 시작하며 1회차 멘토링 기능 명세서 회의 2회차 멘토링 UI 회의 (figma) DB 명세서 초안 작성하기 (erd cloud) API 명세서 초안 작성하기 (notion) 마치며 시작하며 저번 주부터 카우치 코딩을 통해 백엔드 포지션으로 웹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팀 단위의 웹 프로젝트는 처음이라 큰 문제없이 무사히 끝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 이번 프로젝트를 어떻게 진행했는지와 어떤 것을 알았는지 각 주차별로 포스팅할 생각이다. 1회차 멘토링 맨 처음엔 대략적으로 자기소개가 진행되었는데 프론트엔드 두 분과 내가 차례대로 자신에 대한 키워드 3개를 이야기해야 했는데 이게 생각보다 서로를 잘 알게 해 줬던 것 같다. 이후에 프로젝트 주제를 정하는 아이디어 회의가 시작되었는데 원래 1회차 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