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딩테스트
- Java
- 유사 칸토어 비트열
- LEVEL 2
- DFS
- 테이블 해시 함수
- 프로그래머스
- 알고리즘
- 빌드 툴
- Qoddi
- 마법의 엘리베이터
- Fun편log
- 트랜잭션
- Spring Framework
- Spring
- 6주포트폴리오
- 토이 프로젝트
- 와이어 프레임
- 배포
- 백준
- 카우치코딩
- maven
- 그리디 알고리즘
- 토이프로젝트
- GitHub
- 협업프로젝트
- pom.xml
- couchcoding
- 프로젝트 설계
- ERD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2)
소통 하고싶은 개발자

목차 시작하며 Mail API 란? SMTP & Stateful Mail API 사용법 마치며 시작하며 이번에는 자바 메일 API(javax.mail)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한다. 보통 포스팅은 누군가가 도움을 받기위해 작성한다기보단 내가 나중에 써먹으려고 요약해놓고 까먹으면 보러오기 위해 작성하는데, 이번 주제는 진짜 나중에 까먹을거같아서 포스팅하기로 했다. Mail API 란? 자바(Java)에서 메일관련 기능(읽기, 쓰기, 편집하기)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표준 확장 패키지다. 메일 API를 사용하게 된 원래 목적이 토이프로젝트에서 이메일 인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이기 때문에 쓰기 기능만 알아봤고, 그래서 쓰기만 포스팅할것이다. SMTP & Stateful 내가 처음 메일 API를 사용하면서 ..

목차 시작하며 페이지 만들기 컨트롤러 구조 변경 뷰 리졸버 구조 변경 DB 연동하기 (mysql) 마치며 시작하며 저번 포스팅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MVC Model 2, Front Controller 구조를 만들어봤다. 이번에는 계획한 일정 상 가장 처음에 하려고 계획했던 로그인 페이지를 만들고 DB를 이용해서 로그인 기능을 구현한 것을 포스팅하려고 한다. 페이지 만들기 일단 현재까지 만든 페이지는 첫 페이지 로그인 페이지 아이디 찾기 페이지 비밀번호 찾기 페이지 이렇게고 메인 페이지는 ui를 완벽하게는 아니지만 로그인 후 보여줄 화면으로 간단하게 만들어두었다. 컨트롤러 구조 변경 지금부터 이야기할 내용은 저번 포스팅을 보면 쉽게 이해될거라고 생각한다. 기존에는 IController Interface..

목차 시작하며 프로젝트 생성 Github 연동 MVC Front Controller 구조 만들기 마치며 시작하며 이번부터는 실제로 뭔가 만들어보는 시간이다. 저번 포스팅에서 올렸던 일정하고는 조금 엇나가는 부분이 있는 것같다.. 역시 일정 짜는게 제일 어렵다...^^. 그래도 최대한 맞춰서 진행해보려고 한다. 원래 일정대로라면 첫 페이지에서 로그인 페이지, 회원가입 페이지로 이동하는 컴포넌트를 만들고 로그인 기능을 구현해야한다..... 너무 생각없이 공수를 짰나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열심히 해봐야겠다.. 프로젝트 생성 이번 프로젝트에서 IDE로는 인텔리제이를, 폴더 구조는 메이븐 webapp 아키텍처를 사용하려고 한다. 이런 식으로 src/main폴더 하위에 java, resources, webapp 폴..

목차 시작하며 IA란? 내가 작성한 IA 와이어 프레임이란? 내가 작성한 와이어 프레임 마치며 시작하며 저번 포스팅에서 플로우차트(Flowchart)를 작성하면서 힌트를 얻어 IA를 작성했었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작성한 것들과 비교하니 뭔가 결이 다른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다시한번 곰곰히 생각하면서 정보를 도식화 하기위해 노력하며 작성했다.. IA란? 많은 곳에서 IA(Information Architecture)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고, 그들의 대략적인 공통점은 정보를 구조화하여 여러 형식의 문서로 작성하는 것이라는 것이었다. 대개 서비스의 페이지 별 메뉴 목록을 기준으로 구조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개인적으로 유저가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메뉴를 직접 보고 원하는 서비스를 향해 이동하게 되는 것..

목차 시작하며 Flowchart란? Flowchart 작성 방법 마치며 시작하며 이번에는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IA를 작성하는 감을 잡기위해 플로우차트(Flowchart)를 작성해보려고 한다. 사실 저번에 IA에 대해 작성하려고 했으나, 너무 애매하게 받아들여졌기도 했고 서비스의 대략적인 흐름도(시나리오)와 메뉴 목록을 나누면 IA를 작성하기 수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다 작성하고보니 이전에 작성했던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과 비슷하게 흘러간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에는 구체적으로 페이지별 플로우 차트를 만들고 링크하는 방식으로 조금 더 자세하게 작성해봤다. Flowchart란? 어떠한 일을 처리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간단한 기호와 도형으로 도식화한 것을 의미한다. Flowchart 작성 방법..

목차 시작하며 ERD 란? ERD의 구성 요소 ERD 작성 과정 ERD 산출물 마치며 시작하며 저번 포스팅에서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을 만들고 토스 시험 준비를 하느라 블로그에 신경을 많이 쓰지 못했다... 그래도 방문자가 있었다는 것을 보고 나름 뿌듯했다. (그 분들이 도움을 받으셨을진 모르겠지만^^) 저번에 말했던 대로 IA를 작성해보려고 하였으나, 문서 작성 가이드 라인이나 참고 자료가 너무 어색하게 다가왔다. (혹은 너무 추상적이었다..) 그래서 계획을 변경해서 ERD를 작성하고 어떤 데이터를 저장할지 대략적으로 결정한 후, UI 구성에 대한 그림을 대체적으로 그려놓은 후(그리는 사이트를 활용할 생각이다!)에 IA를 만들던지 해야할 것같다. ERD 란? ERD란, Entity Relationship..

목차 시작하며 요구사항 명세서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내가 작성한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요구사항 명세서 마치며 시작하며 이번 포스팅은 저번 포스팅이후로 꽤나 시간이 지난 시간이라고 생각한다. 원래는 처음부터 일정표를 작성하고 해당 일정에 맞춰서 '어떻게든 해보자' 라는 마음가짐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했었는데, 구글에 '토이프로젝트 가이드라인' 이라고 검색하고 내용을 보니까 요구사항 명세서(정의서)라는 것을 작성해야 향후 프로젝트 진행에 현실성과 진행 방향을 잡아줄 수 있다는 글을 보았다. 생각해보니, 이전 회사는 항상 대기업의 고객사에서 수주가 발생하면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일정을 사원인 나보고 대충 아무렇게나 해서 송부하라고 강요했던 기억이 난다. (선임분들께 물어봐도 대충 그냥 작업 당 하루이틀씩..

목차 시작하며 메이븐 빌드 설정 마치며 시작하며 저번 포스팅에 이어 메이븐 설정파일인 pom.xml에서 설정하는 것의 하나인 빌드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한다. 개인적으로는 "포스팅이 너무 길어지면 보는 사람입장에서 읽기 부담스럽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나누게 되었다. 메이븐 빌드 설정 일단 내가 만든 메이븐 프로젝트의 설정파일을 먼저 살펴보면, (참고로 아무것도 손대지 않은 프로젝트입니다.. 단지 아키타입이 webapp임) 빌드 설정 (build) : 빌드와 관련된 설정을 가진 태그들을 가진 태그로, 소스 디렉터리 경로, 산출물 디렉터리 경로, 빌드 플러그인 설정을 할 수 있다. : 기본적으론 라는 태그와 똑같이 플러그인들을 감싸는 태그지만,와 다른 점은 pom.xml도 상속을 할 수 있는데, 상속할 때..

목차 시작하며 pom.xml에서 설정하는 것들 project properties dependencies 마치며 시작하며 이번 포스팅을 작성하는 목적은 나 스스로가 Maven 특유의 난잡한 설정파일을 간단하면서 깊게 다루기 위함이다. 참고로 이전 포스팅에서부터 이야기 했던 Maven 설정파일의 이름은 "pom.xml"이다. 이제부터 Maven설정 파일의 명칭을 "pom.xml"이라고 부르려고 한다. pom.xml에서 설정하는 것들 pom.xml은 Project Object Model의 약자이고, Maven Project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파일의 이름이다. 더보기 4.0.0 org.mytoypjt behind 1.0-SNAPSHOT war behind Maven Webapp http://www.examp..

목차 시작하며 Maven이란? Maven을 사용하는 이유 그럼에도 Maven의 단점이 있다면? 마치며 시작하며 나는 자바 프로젝트를 만들고 사용할 때 거의 항상 Maven의 도움을 받아왔다. 사실 잘 몰라도 대충 검색하면서 쓰면 프로젝트가 어찌어찌 잘 돌아가긴 돌아갔다.. 하지만 내가 사용하는 기술을 잘 모르고 사용하면 그 기술을 활용하기 어려워진다고 생각하기에, 이번에 조금 더 확실하게 Maven에 대해 공부하고 개인적인 요약본을 남기고자 이 글을 작성하였다. 개인적으로는 나중에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막히는 부분을 최소화하고 싶기도 하다. 혹시 내용 중 틀린 내용이나 부족한 점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Maven 이란? Maven이란 자바 프로젝트의 빌드(build)를 자동..